2025.04.11 (금)

  • 맑음동두천 23.1℃
  • 맑음강릉 23.0℃
  • 맑음서울 22.1℃
  • 맑음대전 22.1℃
  • 맑음대구 22.4℃
  • 맑음울산 19.9℃
  • 맑음광주 21.1℃
  • 맑음부산 18.8℃
  • 구름조금고창 21.0℃
  • 맑음제주 17.4℃
  • 맑음강화 17.3℃
  • 맑음보은 22.6℃
  • 맑음금산 22.6℃
  • 맑음강진군 21.6℃
  • 맑음경주시 23.0℃
  • 맑음거제 20.4℃
기상청 제공

현대차그룹 10년...그리고 앞으로 10년

1일 현대차그룹 창립 10돌... 판매량 200만대서 540만대

현대차그룹이 9월 1일로 출범 10주년을 맞았다.

정몽구 회장이 이끈 현대ㆍ기아자동차그룹은 지난 2000년 5월 모기업이었던 현대그룹과 결별을 선언한 이후 그해 9월 1일 공정거래위원회로부터 두 회사의 계열분리를 공식적으로 승인받아 지금의 현대차그룹으로 재탄생했다.

지금까지 현대차그룹의 10년은 정몽구 회장의 현장중심 품질경영으로 정리된다.

그 성과가 10년 후 지금 만개해 글로벌 빅3를 넘볼 상황에 이르렀다.

이제 앞으로 10년. 현대차그룹은 정몽구 회장과 그 아들인 정의선 부회장의 대를 잇는 미래 친환경 경영을 화두로 ‘글로벌 톱’이라는 궁극적인 미래 비전을 달성하기 위해 한걸음 한걸음 뜨거운 걸음을 내딛는다.

▶지난 10년, 앞으로 10년…=현대차그룹의 10년 전과 지금은 한마디로 ‘천양지차(天壤之差)’다.

2000년 9월 현대그룹에서 분리 당시 16개에 불과했던 계열사는 현재 42개로 늘어났고, 모기업인 현대자동차는 2000년 전 세계에서 200만대 판매를 갓 넘기는 수준이었지만 10년 사이 두 배를 넘는 성장세를 보이며 464만대(2009년 기준)를 팔아치웠다.

국내ㆍ외 위상도 10년 전에 비해 크게 변했다. 계열분리 당시 자산 규모 36조1360억원으로 재계 4위였던 현대차그룹은 지난해 매출 140조원에 자산 규모도 100조7000억원(올해 4월 기준)이 됐다.

재계 순위도 두 계단 상승해 삼성그룹에 이은 2위 자리를 확고히 했다. 올해 매출은 160조원을 예상하고 있다.

글로벌 위상도 폴크스바겐그룹, GM, 도요타, 포드에 이어 전세계 자동차업체 가운데 5위로 올라서면서 전 세계에 한국의 자동차 기술력을 알리는 데 큰 역할을 했다.

▶궁극적 목표 글로벌 톱=현대차그룹은 올해에는 전년 대비 16.3% 신장한 540만대를 팔아 글로벌 톱5를 굳힌다는 계획이다.

이럴 경우 세계 자동차시장(6500만대)의 8.3%를 점유하게 되면서 도요타 등 경쟁사의 실적에 따라서는 4위로의 도약도 기대해 볼 수 있는 상황이다.

1976년 포니를 첫 수출하면서 글로벌 업계에 현대차의 존재를 알리기 시작했다.

최근에는 중소형차로만 승부를 걸었던 과거와 달리 제네시스와 에쿠스 등 프리미엄급 대형차들의 세계 시장 진출도 성공을 거두면서 싸구려 이미지까지 벗어던지게 됐다.

이제 현대차그룹은 전 세계에 유일한 원스톱 자동차 종합그룹으로 탄생했다.

현대제철과 현대하이스코가 생산한 철판을 현대모비스나 위아 같은 부품사가 제조하고, 현대엠코가 지은 공장에서 현대ㆍ기아차가 완성차를 생산해 내고, 글로비스가 운반한 차량을 현대캐피탈에서 할부로 판매에 나서게 되는 구조다.

자동차그룹으로서 위용이 갖춰지면서 이제 미래 먹을거리인 친환경 전략은 정의선 부회장의 주도하에 차근차근 개발 중이다.

현대차는 추석 전 국내 최초 풀스피드 순수 전기차인 i20 전기차의 시승 행사를 개최, 친환경차 출시의 서막을 연다.

도요타를 능가하는 하이브리드 기술력과 클린디젤엔진 기술력을 바탕으로 수년 안에는 수소연료전지차로 글로벌 친환경차 시장의 주도권을 쥔다는 계획이다. <헤럴드경제>
 

배너

배너
배너
배너

이달의 신차 구매혜택

더보기


레이싱 모델

더보기